건설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자료12 – 계산문제

계산문제

 

연평균 100명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연간 5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사망 1명, 신체장애등급 14급이 2명, 가료 30일 1명, 가료 7일 1명이 발생하였다. 강도율 계산 및 강도율의 의미 설명

 

작년 한 사업장의 총 산업재해보상보험 보상액이 214,730,693,000원이었다. 하인리히 방식을 이용하여 ① 총 손실비용, ② 직접 손실비용, ③ 간접 손실비용을 계산

① 총 손실비용

하인리히의 총 재해비용=직접비+간접비 (직접비:간접비=1:4)

=214,730,693,000+(4 X 214,730,693,000)=1,073,653,465,000원

② 직접 손실비용: 214,730,693,000(산업재해보상보험 보상액)

③ 간접 손실비용을 계산: 4 X 214,730,693,000 = 853,922,772,000원

 

연평균 근로자수가 600명인 사업장의 안전전담부서에서 6개월간 불안전행동 발견 조치 건수 20건, 불안전상태 조치 건수 34건, 안전홍보 3건, 안전회의 6건, 권고 12건의 안전활동을 펼쳤다. 이 사업장의 안전활동율(단 1일 9시간, 월 22일 근무하였으며, 6개월간 2건의 사고가 발생함)

 

400명의 근로자가 1일 8시간, 연간 300일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과거 빈도율 120, 현재 빈도율이 100일 경우 Safe-T-Score를 계산하고 안전의 심각성 여부 판정

Safe-T-Score: 과거와 현재의 안전 성적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이다.

-2.0 이하: 과거보다 안전이 좋아졌다.

-2.0 ~ +2.0: 과거와 큰 차이 없다.

+2.0 이상: 과거보다 안전이 심각하게 나빠졌다.

 

연평균 20명이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재해 1건이 발생하여 1명 사망, 50일의 휴업일수 2명, 20일의 휴업일수 1명이 발생하였다. (단, 연간 근무일수는 305일)

 

종합재해지수

연평균 근로자수 500명, 연간 280일 1일 8시간 근무, 연간 재해건수 10건, 휴업일수 159일

 

근로자 500명이 근무하던 사업장에서 12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재해자수가 15명, 600일의 근로손실이 생겼다. (단, 1일 9시간, 연270일 근무)

 

종합재해지수

상시근로자 500명인 사업장에서 작년 한 해 동안 6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휴업일수 103일이 생겼다. (1일 8시간 근무, 1년 280일 근무)

 

연간 상시근로자수가 4,000명인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 1건이 발생하였다. 사고사망만인율 계산

사고사망만인율

Leave a Comment